[시사] 하버드 출신 美교수 "2차대전 두둔 日 추한 모습, 램지어로 부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시사] 하버드 출신 美교수 "2차대전 두둔 日 추한 모습, 램지어로 부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시사] 하버드 출신 美교수 "2차대전 두둔 日 추한 모습, 램지어로 부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스1| 작성일2021-02-19 | 조회조회수 : 2,942회

    본문

    피터슨 교수 '코리아넷' 칼럼 통해 위안부 비하논문 반박



    0730f3ed0ea948d331bd2e1603811642_1613779582_291.jpg
    마크 피터슨 


    "2차 세계 대전 당시 행위를 두둔하는 일본의 추한 모습이 2021년에도 다시 한번 고개를 들고 있다."


    푸른 눈의 미국 하버드대 석·박사 출신 한국학 전문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라고 깎아내린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에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7일 정부 대표 다국어포털 '코리아넷'에 마크 피터슨 브리검영 대학 명예교수가 기고한 칼럼인 '위안부, 다시 한국을 자극하는 일본'을 게재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칼럼에서 피터슨 교수는 "램지어 교수 논문의 문제점은 피해자들이 어떻게 강제로 또는 속아서 위안부가 됐는지에 대해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고 변호사들만 읽을 수 있는 법적인 주제로만 국한했다는 점"이라며 칼럼을 시작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로 끌려간 피해자들의 사연은 한국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다"라며 일제 강점기 때 위안부 강제동원을 피하려고 하얼빈의 삼촌 집으로 보내진 가사도우미 아주머니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어 "이 논문은 국가가 허가한 유곽에서 이뤄진 매춘에 관한 법적인 문제에 대해서만 논하고 있다"라며 "법적인 문제 외에는 위안부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하려 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피터슨 교수는 위안소의 잔인한 부분을 의도적으로 축소한 것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저자는 일본이 전시에 저지른 여성 착취 범죄 상황 전반에 대해서는 논하고자 하지 않는다"라며 "잠시 쉬었다는 이유로, 병을 옮기거나 임신을 했다는 이유로 위안부들을 난폭하게 때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위안소의 잔인한 면은 '위험하다' 정도로 적힌 것이 전부"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일제가 저지른 난징대학살을 언급하면서 "일본군은 전투를 치른 뒤 여자들을 강간하고 사람들을 죽이며 난동을 부렸다"며 "일본 정부가 자국 병사들의 성욕 해소를 위한 수단으로 위안소 운영을 강화하게 됐다"고 밝혔다.

     

    피터슨 교수는 "법학자는 전쟁 시의 법적인 문제에 대해 다룰 수 있다"라면서도 "그러나 이 논문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삶과 이미 작고한 위안부 여성들에 대한 명예를 훼손하고 서로 골이 깊어진 두 이웃 국가 간의 불신과 증오에 불을 지피는 것이라면, 이 논문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문제를 단편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굉장한 폐해를 낳고 있다"라며 "그의 논문은 일본에 대한 한국의 오랜 반감, 불신, 증오에 불을 질렀다"고 했다.


    램지어 교수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램지어 교수는 공식 직함이 '미쓰비시 일본 법학교수'이고, 일본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냈으며 2년 전에는 일본 정부 훈장인 '욱일장'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피터슨 교수는 "그는 일본 사람이 아니지만 어느 누구보다 열심히 일본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해 왔다"라며 "이번에는 하버드 법대에서 나온 논문으로 일본의 입장을 두둔하며 다시 한국의 상처에 소금을 뿌렸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의 행태와 관련해서는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입장을 고집해왔으며 매번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딱지를 떼어내 버린다"라며 "일본은 전범국가로서 보여야 할 사죄와 동정과는 멀찍이 거리를 두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피터슨 교수는 "과연 언제쯤 일본과 일본을 대표하는 모든 이들이 20세기 초 자국이 저지른 전범행위에 대한 정당화를 중단하고 '미안하다'고 말할까"라며 글을 끝맺었다.

     

    마크 피터슨 교수는 1987년 하버드 대학에서 동양학 박사 학위를 받고 브리검영 대학에서 30년 이상 한국학을 가르쳤다. 2018년 은퇴 후 '우물 밖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윤슬빈 기자 seulbin@news1.kr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48건 138 페이지
    • ‘성적 지향 차별금지’ 평등법, 미 하원 통과
      KCMUSA | 2021-02-26
      (사진: Yahoo News)미 하원이 25일(목요일) 평등법(Equality Act, H.R. 5)을 찬성 224명, 반대 206명으로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에 근거해 고용 등에 있어 차별하지 말 것을 규정하고 있다. 평등법은 221명의 …
    • Z세대 성인 6명 중 1명 성소수자(LGBT), 갤럽에 따르면 계속 증가
      KCMUSA | 2021-02-26
      (사진: Upsplash)갤럽이 발표한 설문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Z세대 성인 6명 중 1명은 성소수자(이하 LGBT)인데, 이는 역사상 모든 세대 중 가장 높은 비율이며, 그 숫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갤럽의 최근 설문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020년 …
    • [시사] "위안부 매춘 계약서 안 갖고 있어".. 램지어, 동료에 실토
      한국일보 | 2021-02-26
      석지영 교수, 뉴요커 기고문서 대화 공개소녀 사례 잘못 인용 지적에는 "실수했다"서울 계성고 학생들이 25일 서울 성북구 분수마당 한·중 평화의소녀상 앞에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 논문 게재 철회를 요구하는 피케팅을 하고 있다. 배우한 기자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
    • [NY] 뉴욕교협세미나/주제: 코로나시대의 기독교
      기독뉴스 | 2021-02-26
      대뉴욕지구한인교회협의회(회장 문석호목사)는 2월25일(목) 오전10시 뉴욕초대교회(담임 김승희목사)에서 ‘코로나시대의 기독교’란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소주제는 1.교회의 의미는 무엇인가? 2.주일성수 어떻게 이해하는가?였고 성경적‧신학적‧역사적‧목회적 관점에서 김재열…
    •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인의 63% 바이든의 선거 승리 "불법"
      KCMUSA | 2021-02-25
      (사진: NBC News)American Life 설문조사센터의 새 설문조사에 따르면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인의 약 3분의 2가 2020년 선거에서 이룬 조 바이든의 대통령 승리가 합법적이라고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American Perspective Survey…
    • 싱어송라이터 퍼렐 윌리엄스 성령체험 고백
      KCMUSA | 2021-02-25
      미국의 흑인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인 퍼렐 윌리엄스가 2015년 10월 2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Assago 포럼에서 열린 MTV EMA 시상식에서 공연하고 있다. (사진: Reuters/Stefano Rellandini)그래미상을 13회 수상한 아티스트이자 프로…
    • UMC 총회 또다시 연기, “동성애 논쟁과 교단 분리” 2022년으로
      KCMUSA | 2021-02-25
      2019년 2월 24일(일)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아메리카센터돔에서 열린 미연합감리교회 특별 총회. (사진: United Methodist News Service/Kathleen Barry)미연합감리교회(이하 UMC)가 동성애에 대한 교단 입장을 둘러싼 논쟁으…
    • 교회 직접출석 지난여름보다 6배 감소... 소그룹의 60% 이상 어떤 형식으로든 모임 가져
      KCMUSA | 2021-02-25
      개신교 목회자의 76%가 이번 1월 대면예배를 드렸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9월의 87%보다 감소한 수치이다.이 온라인 설문조사는 미국 개신교 목사 430명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2월 1일부터 2월 1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오차 범위는 약 6% 포인트이다.라이프웨이…
    • 400여명의 美 복음주의자, 의회 공격한 급진 기독교 국가주의 비판
      국민일보 | 2021-02-25
      지난달 6일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위자들과 경찰이 대치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400명이 넘는 미국 복음주의 지도자들이 지난달 6일 미국 워싱턴DC 의사당을 난입했던 사람들을 향해 ‘기독교 국가주의 이단’이라는 공개서한을 발표했다고 24일(현지시간) 뉴스위…
    • [CA] 나성영락교회 장학기금 유용 논란
      LA중앙일보 | 2021-02-25
      23만여불 불법 인출 등 이유장학위“ 1년전 제기 시정 안돼”당회 측 “매듭 지어가는 과정” LA 최대 한인교회인 나성영락교회(담임목사 박은성)에서 장학기부금 불법 인출 및 유용 논란이 불거졌다.논란은 약 1년 전부터 시작됐지만 장학금을 관리하는 장학위원회가 지난해 8…
    • c8f48675f62e2bcac9970db8e2c67dc9_1614217675_0663.jpg
      남침례회 두 교회 축출 "담임목사가 성범죄자"
      KCMUSA | 2021-02-24
      그리어 남침례회연맹 회장 (사진: Mark Humphrey / AP)1년 전 코비드 팬데믹이 발발한 이래 가진 첫 대면회의에서 남침례교연맹(SBC) 집행위원회는 목회자가 성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교회와 목사가 성소수자로 확인된 두 교회와의 관계를 끊기로 결정했다. 그…
    • 미국의 무종교인 대부분 여전히 신앙 가지고 있어
      KCMUSA | 2021-02-24
      (그림: Prixel Creative / Lightstock)일리노이주 시골의 한 작은 마을에 있는 미국침례교회는 1968년에 현재의 교회당을 지었을 때 교인 수가 300명이 넘었다. 지난 1990년대까지 약 100명이 있었고, 2006년 라이언 버지(Ryan Burg…
    • [시사] 미 경제학자도 램지어 논문 비판…연판장 돌리자 578명 동참
      연합뉴스 | 2021-02-24
      홍콩 출신 마이클 최 UCI 교수 "학문적 불법행위 넘어서" 시정 요구한국·중국·미국·호주 등서 활발한 참여로 서명자 급증마크 램지어 미 하버드대 교수. [Harvard Law School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
    • [시사] "WWW의 시대 저물어간다"…스플린터넷 현상 가속화
      연합뉴스 | 2021-02-24
      거대 IT 기업-정부간 충돌 '치킨게임' 양상 비화 가능성'정보 생태계' 분화로 국가별·시장별로 정보 차단막 생길수도 페이스북 로고epa08925056 (FILE) EPA/Julien de Rosa *** Local Caption *** 55197924(서울=연합뉴스)…
    • [시사] [CA] 美경찰 또 '목 누르기'…아시아계 청년, 엄마·여동생 앞에서 사망
      SeattleN | 2021-02-24
       미국에서 "날 죽이지 말라"고 애원하던 아시아계 청년이 경찰의 목 누르기로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흑인 조지 플로이드를 사망에 이르게 한 폭력적 진압 방법이 다시 사용된 것이 뒤늦게 밝혀졌다.24일 CNN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북부 안티오크에서 사망한 필리핀…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