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재산 동결’ 등 나성영락교회 사태 ‘악화일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교회재산 동결’ 등 나성영락교회 사태 ‘악화일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교회재산 동결’ 등 나성영락교회 사태 ‘악화일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스M| 작성일2022-04-29 | 조회조회수 : 9,939회

    본문

    KPCA 교단측 담화문 발표…교회측은 반박



    21cb0bc6e35885d991406e1d5b53a279_1651278207_258.jpg
     

    사회법정 싸움으로 번진 나성영락교회 사태가 소송과 관련한 공식입장을 발표하며 거친 대응을 주고 받았다. 


    먼저 나성영락교회가 소속된 한인해외장로회(KPCA)는 지난 19일 총회장 이재광 목사 명의로 담화문을 발표했다. 


    이재광 목사는 담화문에서 교단 질서와 교회 건물과 재산 환수를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21cb0bc6e35885d991406e1d5b53a279_1651278191_7979.jpg
     


    이 목사는 “박은성 씨와 당회원들은 더이상 본 교단 소속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교회 건물과 재산을 불법점거 및 소유하고, 교단잔류교인들을 출교조치하여 교회출입을 막고 있다"며 “총회는 교단의 질서를 세우고 자격을 갖춘 교인들이 교회 건물을 되찾도록 법적 절차를 밟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소송이 교회 재산을 빼앗으려는 의도가 아님도 주장했다. 


    이 목사는 “교단헌법에는 총회가 개교회 재산을 소유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총회 역시 나성영락교회의 재산을 빼앗을 의도가 전혀 없다. 헌법 조항에 의거하여 적법한 교인들이 교회재산을 되찾도록 도울 뿐이다"고 밝혔다. 


    교단측 의견을 대변한다는 나성영락교회 모 교인 역시 ‘교회측 재산을 빼앗으려는 의도이다'는 교회측 주장은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교회 재산과 관련한 교회측 주장은 모두 거짓이다. 교단은 교회 재산을 소유할 수 없다. 다만, 교단으로부터 면직 및 출교 당한 이들이 불법적으로 점거하고 있는 건물과 재산을 교인들에게 돌려주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나성영락교회는 소송을 대리하고 있는 변호사를 통해 나온 입장문을 통해 교단측이 교회 재산권을 찬탈하려 한다고 언급했다. 


    교회측은 “총회는 교회의 재산을 빼앗을 의도가 없다고 밝혔지만, 실제로 교회를 고소한 내용을 보면 사실이 아님이 명백하다”며 “교단 헌법에는 교회 재산에 대한 신탁구좌 보존이나 반환 조항이 없다. 총회는 불분명한 규정을 근거로 억지 재산권 주장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총회 측 소송 자체가 근거가 없음도 주장했다. 


    교회측은 “나성영락교회는 독립법인단체이다. 주법에 따라 교회의 정관 수정 권한은 교회가 가지고 있다. 따라서 총회는 교회의 교인회원, 제직 및 당회원이 아니므로 소송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언급했다. 


    한편, 지난달 11일 교단측이 교회측 관계자 16인과 함께 소송을 제기한 나성영락교회 거래은행인 한인은행 3곳이 교회 재정을 동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단측의 한 관계자는 “소송을 제기한 후 3곳의 은행으로부터 지난 4월 초에 나성영락교회 계좌를 모두 동결시켰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법원 명령이 내려지지 않은 가운데 나온 조치이다. 3곳 은행들을 대리하고 있는 변호인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교회측이 많이 혼란스러울 것이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나성영락교회 모 관계자는 교회 은행계좌 동결이 “사실이다”고 확인해줬다. 


    하지만, 교회 대책위원회 대표인 김원일 장로는 ‘계좌 동결’과 관련해 “어떠한 것도 말해줄 수 없다. 소송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게 사실이다"고 언급했다. 


    지난달 KPCA 교단이 고소함으로 시작된 법정소송에 대해 나성영락교회 측의 대응은 특별히 알려진 것은 없다. 김원일 장로는 “변호사를 통해 준비중에 있다”고 말했으나, 어떤 형태의 대응책을 내놓을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미주한인교회의 중심적 역할을 해왔던 나성영락교회의 계속되는 갈등에 교계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양재영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52건 70 페이지
    • 86ad454b67f072fc80d99ffc47285f5a_1656004875_2647.jpg
      [CA] “백인 우월 의미, 바이올라대학 예수 벽화 지워라”
      미주중앙일보 | 2022-06-23
      위기의 기독교 대학 (2)보수적 정체성에 갈등 커져최근 7년간 학부생 18% 감소자유주의적 신학으로 균열 생겨기독교 학교들 정체성 유지 난감바이올라(Biola)대학의 예수 벽화 (사진: The Scriptorium Daily)라미라다 지역 유명 기독교 명문인 바이올라(…
    • [MA] 206년 된 교회, 인구 감소, 젊은 교인 유치 실패로 영구 폐쇄
      KCMUSA | 2022-06-22
      매사추세츠 주 사우스윅에 있는 크라이스트연합감리교회 (사진: Google)매사추세츠 주 사우스윅에 있는 크라이스트연합감리교회(Christ Church UMC)는 지난 206년 동안 이름, 시설 및 교인의 변화를 견뎌냈다. 코로나19 사태가 2년 넘게 이어진 가운데, 지…
    • [CA] 엘에이 카운티 종교 기관 노숙자 사역 실태 조사
      뉴스M | 2022-06-22
      [L.A. 카운티 노숙 문제 이니셔티브] 종교기관과 협력 확대 노력[뉴스M 엘에이=마이클 오 기자] [엘에이 카운티 홈레스 이니셔티브](이하 ‘홈레스 이니셔티브’)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노숙 문제 해결을 위해 종교 기관에 설문 조사 참여를 요청했다. 종교 기관과의 협력 …
    • ee8f68b22c3e0e72721410b470a203a7_1655919715_8538.jpg
      [워싱턴 DC] 성경박물관 토리노 수의 전시: 새로운 과학으로 수천 년 된 신비에 빛을 비추다
      KCMUSA | 2022-06-22
      왼쪽 토리노 수의, 오른쪽은 1898년 사진에 의해서 드러난 남성의 얼굴 (사진: 성경박물관)수백 년 전 역사의 레이더에 처음 등장한 이래로 토리노 수의는 전 세계 과학자, 대중, 하나님의 백성을 사로잡았다. 어떤 사람들은 이 아마포를 예수 그리스도의 장례 수의로 보고…
    • [AL] 앨라배마 교회 총격 살인사건 범인은 전직 총기 판매상
      KCMUSA | 2022-06-22
      범죄 기소 후 보석 없이 구치소에 수감 중(사진 : Fox 5)지난 16일(목) 앨라배마의 한 교회에서 총기를 발사해 3명을 숨지게 한 범인이 전직 총기 판매상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앨라배마주 검찰청은 18일(토) 교회 총격사건 용의자 로버트 핀들리 스미스(Robert…
    • [CA] 릭 워렌 목사 9월에 은퇴, 새들백 후임자 '리더십 문제' 의혹
      KCMUSA | 2022-06-21
      릭 워렌 목사 부부가 후임자로 알려진 앤디 우드(Andy Wood) 목사 부부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Saddleback Church)릭 워렌의 새들백교회 지도자들은 예비 조사를 통해 최근 발표된 워렌의 후계자 앤디 우드(Andy Wood)가 "확실한 충성…
    • [CA] 역대최대 남침례교 한인총회 LA서 성료
      크리스천 위클리 | 2022-06-21
      총회장에 이행보 목사 선출, 125만 달러 예산 통과개회예배를 마친후 참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미남침례회 한인교회 제41차 정기총회가 지난 6월 13일(월)부터 6월 15일(수)까지 LA에 있는 새누리교회에서 1,0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료되었…
    • 95bc53c2586a5f114f448079201c7c98_1655768509_1627.jpg
      미국인들의 신에 대한 믿음 81%로 하락, 갤럽 조사 이래 최저
      KCMUSA | 2022-06-20
      2017년의 87%에서 감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81%가 신을 믿는다. 그러나 이는 70여 년 전 갤럽이 신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갤럽은 1947년에 처음 질문을 했고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두 번 설문조사를 했다. 그리고…
    • 95bc53c2586a5f114f448079201c7c98_1655765634_8095.jpg
      팀 켈러 암 치료 부작용으로 고생했지만, '훨씬 좋아지고 있다'
      KCMUSA | 2022-06-20
      팀 켈러 (사진: Timothy Keller Facebook)리디머장로교회(Redeemer of Presbyterian Church)와 Redeemer City to City의 설립자로, 강연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팀 켈러(Tim Keller)의 아들 마이클 켈러(M…
    • 코로나 19 팬데믹 동안, 교회를 떠난 사람들 있다!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2-06-20
      CT, 웬디 왕/앨리스 엘헤이지 설문과 인터뷰 통해 팬데믹 동안 교회 실태 조사웬디 왕(Wendy Wang)은 가족 연구소(the Institute for Family Studies)의 연구 책임자이자 퓨 리서치 센터의 전 선임연구원이다.앨리스 엘헤이지(Alysse E…
    • [NY] 로잔운동과 2024 서울 로잔국제대회 뉴욕교계 설명회
      기독뉴스 | 2022-06-20
       존 스토트, 빌리 그래이엄 목사에 의해 시작된 복음주의 선교운동인 로잔국제대회 4차 대회가 2024년 한국에서 개최된다. 로잔국제대회와 로잔운동을 뉴욕교계에 소개하는 설명회가 6월16일(목) 오전10시 프라미스교회에서 '로잔 선교운동과 미주한인교회의 사명'의 주제로 …
    • 2022 나이스크 패밀리 컨퍼런스(Nyskc Family Conference) 열린다
      KCMUSA | 2022-06-20
      2022 나이스크 패밀리 컨퍼런스(Nyskc Family Conference)가 오는 2022년 6월 30일부터 7월 2일까지 “예배를 회복하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컨퍼런스 장소는 뉴욕에 있는 나이스크 월드미션 본부(127 Eatontown Rd., Greenvill…
    • 남침례회, ‘여목사 안수’ 새들백교회 제명 결정 연기
      KCMUSA | 2022-06-17
      애너하임에서 열린 남침례교 연차총회에 참석한 릭 워렌 목사 (사진: Baptist Press)은퇴한 대형교회 목사 릭 워렌(Rick Warren)은 그의 마지막이 연차총회에서의 연설을 했다. 68세의 지도자는 자신의 발언을 교단에 대한 "러브레터"이자 "유언"이라고 표…
    • 90f3dbe5a312c27b455737bf207e640a_1655505521_3246.jpg
      조지아 메가처치, UMC 떠나기 위해 1,310만 달러 지불
      KCMUSA | 2022-06-17
      조지아주 마리에타에 있는 마운트베델연합감리교회. 2021년 4월, 교회는 UMC에서 탈퇴할 것인가를 두고 투표한 바 있다. (사진: Mt. Bethel UMC)조지아의 한 대형교회가 그들의 재산을 가지고 연합감리교회를 떠나는 데 1,31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 이…
    • 90f3dbe5a312c27b455737bf207e640a_1655505459_3194.jpg
      남침례교, 성학대 개혁안 통과, 번영 복음 '거짓 가르침'으로 분류
      KCMUSA | 2022-06-17
      (사진: SBC실행위원회 / 페이스북)미국 남침례회(SBC) 연차총회에서 총대들이 결의안 중 성학대와 관련된 2가지의 개혁안을 통과시켰으며, 또 번영 복음을 '거짓 가르침'으로 분류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4일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열린 2022 SBC 연차총회에 참…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