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쇠퇴는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기독교의 쇠퇴는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2-09-15 | 조회조회수 : 4,341회

    본문

    퓨리서치 "미국 종교인의 숫자 2070년까지 50% 아래로 떨어진다" 



    e10ac882c1ecde7dc3cb0e334a626dca_1663342884_166.jpg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는 미국에서 미래의 종교 부흥을 배제하지 않지만, 그러나 신앙에서 멀어지는 미국인들의 꾸준한 추세를 고려할 때, 전문가들은 미래의 종교 부흥은 거의 기대할 수 없다고 예측한다. 


    퓨리서치의 조사는 1972년부터의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적 "개종"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미국의 종교환경을 2070년까지 예측하려고 시도했다.


    퓨 수석 연구원인 스테파니 크레이머(Stephanie Kramer)는 “우리는 그것을 본 적이 없으며 종교적 반전을 모델링할 데이터도 없다”고 말했다. “선진 경제에서는 종교 부흥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세속화 후에는 치약을 다시 튜브에 넣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모른다. 데이터가 없을 뿐이다.”


    2019년 1만5천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일반 인구조사(General Social Survey)의 50년 연구와 퓨리서치의 자체 설문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는 현재 추세가 냉혹함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기독교를 포기하고 있다. 그들은 계속 그렇게 할 것이다. 퓨에 따르면 미국의 미래 종교지형을 예측하려는 경우, 문제는 기독교가 쇠퇴할지 여부가 아니다. 문제는 그 쇠퇴가 얼마나 빠르고 얼마나 심각할까 하는 것이다.


    2022년 9월 13일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 퓨리서치는 2070년에 기독교인이 미국 인구의 절반 미만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64%의 사람들이 자신이 기독교인이라고 말하지만 기독교인으로 자란 사람의 거의 3분의 1은 결국 "전혀" 또는 "특별한 종교 없음"으로 전환하는 반면, 종교 없이 자란 사람의 약 20%만이 기독교인이 된다. 이러한 전환 비율이 꾸준한 속도로 계속된다면 대략 반세기 안에 미국인의 약 46%만이 자신을 기독교인이라고 이야기할 것이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처럼 전환율이 계속 "가속화된다면"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부르는 비율은 35%로 떨어질 것이다.


    변화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크레이머는 "추세는 영원히 계속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헌신된 결코 아무데도 가지 않는 기독교인의 핵심층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미래가 그런 길을 간다면 2070년에는 인구의 40% 미만이 기독교인이라고 말할 것이라고 퓨는 예측한다.


    “이 보고서의 시나리오는 그들이 예상하는 무종교인의 숫자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2020년에 모든 전환이 완전히 끝났다는 역사실적 가정하에서도 미국 인구의 일부로서 기독교인이 계속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독교를 떠나는 사람들 중 일부는 다른 종교에 합류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유대인, 이슬람교도, 힌두교도 및 모든 비기독교인이 전체 인구의 약 6퍼센트를 차지한다. 그리고 종교적인 가정에서 낳고 양육되었지만 2070년까지 미국에서 비기독교 신앙이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퓨리서치에 따르면 극적인 변화는 "무종교인"의 증가와 더불어 올 것으로 예측된다. 비록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일부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고 다양한 영적 생활을 하고 있지만 종교적 정체성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오늘날 약 30%에서 50년 후에 5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퓨리서치의 "미국 종교의 미래 모델링(Modeling the Future of Religion in America)"은 이전에 미국의 종교환경에 초점을 맞추던 퓨리서치의 새로운 사업으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예측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번 연구가 그린 그림은 퓨리서치와 다른 종교 연구자들이 최근 몇 년 동안 말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Public Religion Research Institute 설립자인 로버트 존스(Robert P. Jones)는 변화하는 인종 인구 통계 및 무종교적 경향을 기반으로 2019년에 "백인 기독교인 미국"에 대한 사망 기사를 썼다.


    갤럽은 2008년에 종교적 선호도 질문에 대해 "무종교인"이라는 옵션을 정기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 대답을 하는 사람들의 수가 즉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2012년에 퓨리서치는 "무종교인의 상승"을 보고하여 이 현상에 대한 수많은 분석을 촉발했다.


    이스턴 일리노이 대학의 정치학 교수인 라이언 버지(Ryan Burge)는 2021년 저서 "무종교인들(The Nones)"에서 종교와 무관한 사람들이 "반올림의 오류에 불과한 것"으로 보였던 때가 있었다고 썼다. 그러나 그들은 "1996년까지 인구의 10%를 넘어섰고, 10년 후에는 15%의 임계값을 넘었고, 2014년에는 20%에 도달했다"고 기록했다. 그가 2018년 일반인구조사(General Social Survey)에서 원시 데이터를 다운로드했을 때, 무종교인의 규모는 대략 가톨릭 신자와 복음주의자와 동등했다.


    그러나 퓨리서치의 새 보고서는 변화를 주도하는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식별하고 있다.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분리함으로써 기독교인 출생률 감소와 비기독교인 이민자가 중요한 원인이 아님을 보여준다.


    주된 이유는 종교인에서 무종교인의로의 전환 때문이다. 그리스도인들은 더 이상 그리스도인이 아니라고 결정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것은 주로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사람들에게 발생하며 추가로 7%의 기독교인이 30세 이후에 신앙에서 탈퇴했다.


    크레이머는 “예전에는 길거리에서 누군가를 만나면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기독교인이면 그들도 기독교인이었다. 더 이상 항상 사실이 아니다. 약 3분의 1은 더 이상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퓨리서치는 더 많은 사람들이 종교인에서 무종교인으로 전환하는 이유에 관한 이론을 가지고 있지 않다. 연구 센터는 데이터에 집중하고 설명은 다른 사람에게 맡긴다.


    일부는 작고한 사회학자 로드니 스타크(Rodney Stark)의 연구를 바탕으로 그것이 점점 더 교리가 자유로워지는 교단에 기인한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에 따르면, 교단이나 교회가 좌파 정치 활동가들과 동일한 문제와 관심사를 강조한다면, 사람들이 교회에 소속될 이유가 없다. 그들은 축소되는 주류 교단들을 지적한다. 예를 들어, 동성 결혼을 수용한 최초의 주류 교단인 연합그리스도교회는 그 결정 이후 17년 동안 회원의 40% 이상을 잃었다.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경향을 보수 정치와 연결하여 공화당과 복음주의적 연합이 젊은이들을 교회에서 멀어지게 한다고 주장한다. 복음주의 부흥운동의 순간적 증가와 선거가 열리는 몇몇 해에 무종교인의 숫자가 증가하는 것을 증거로 인용한다.


    좌파와 우파가 모두 이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크레이머는 미국의 추세가 연구자들이 정치적 환경이 완전히 다른 다른 국가에서 본 것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한다. 아마도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교회의 결정이 아니라 더 광범위한 사회 발전이다.


    막스 베버(Max Weber)로 거슬러 올라가는 많은 사회학자들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세속화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해 왔다. 세계화, 산업화 및 기술은 사람들이 신앙을 갖는 것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오늘날 눈에 보이는 가장 큰 변화는 실제로 믿음의 급격한 변화가 아니라 소속이다. 무신론자들은 미국에서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신의 존재를 긍정하고 기도하기까지 하지만 특정 종교 단체나 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기를 원하지 않는다.


    유리서치의 이번 보고서는 “전쟁, 경제 불황, 기후 위기, 이민 패턴의 변화 또는 종교 혁신과 같은 외적인 사건이 현재의 종교 전환 추세를 역전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부흥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데이터에는 그렇게 될 것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없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3,887건 1 페이지
    • 제34회 '깃대에서 만나자' 학생기도회 미 전국 학교에서 진행됐다
      KCMUSA | 2023-09-28
       (사진: See You at the Pole 페이스북) 매년 열리는 "깃대에서 만나자(See You at the Pole)" 기도 운동이 어제 민 전역의 초중고등학교, 대학교에서 일제히 개최됐다. 학생들은 함께 기도하기 위해 학교 깃대 주위에 모여들었다. 이 기도회를…
    • 92761cd2f612883d96ce02dceb9916e2_1695927198_0161.jpg
      美 한인 사회 충격…‘그리스도의 군사’ 어떤 단체?
      데일리굿뉴스 | 2023-09-28
      ▲ 12일 미국 애틀란타에서 '그리스도의 군사'라고 밝힌 6명의 용의자들이 한국인 여성 조모씨를 살해해 한인사회에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12일 미국 애틀란타에서 한국인 여성이 차량 트렁크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수사를 진행중인 미 조지아주 귀넷 카운티 경찰은 용…
    • 홈스쿨링 위해 미국 건너온 독일 기독교인 가족 '추방 위기'
      데일리굿뉴스 | 2023-09-28
      ▲홈스쿨링을 위해 15년 전 미국으로 온 로미케와 그의 가족들.(사진출처=Christian Post) [데일리굿뉴스]박애리 기자= 자녀를 홈스쿨링하기 위해 15년 전 수천 달러의 벌금을 물고 미국으로 건너온 독일인 가족이 추방될 위기에 놓였다.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
    • 92761cd2f612883d96ce02dceb9916e2_1695924514_3906.jpg
      팬데믹 이후에 결코 돌아오지 않은 교인들 왜... 미스터리? 믿음이 선택으로 전락?
      KCMUSA | 2023-09-28
      (사진: laterna maga / Lightstock)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교회 출석률이 변했지만 그 원인은  아직 "많은 부분이 미스터리"이다.몇 년 간의 힘든 팬데믹 이후 폴 시이(Paul Seay) 목사는 그가 목회하고 있는 버지니아 주 애빙던에…
    • [CA] 임동선 목사 생애 그린 창작 오페라틱 오라토리오 열린다
      KCMUSA | 2023-09-27
      임동선 목사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의 하이라이트오는 10월 21일(토) 오후 7시 동양선교교회서 개막 왼쪽부터 신선묵 부총장, 최윤정 교수, 임성진 총장, 윤임상 교수, 클라라 신 감독, 테너 최원현 씨가 기자간담회 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월드미션대학교(임성진 총장…
    • [CA] 어컴퍼니 월드와이드 여성회복공동체 후원 감사의 밤 열어
      KCMUSA | 2023-09-27
      AW 후원의밤에서 이경미 대표가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어컴퍼니월드와이드(Accompany Worldwide, 이하 AW 대표 이경미) 여성회복 공동체 후원 감사의밤이 23일(토) 오후 5시 용수산 식당에서 열렸다. 이경미 대표는 “지난 2016년 AW가 설립이 되었는데…
    • 1f1c1ba5417fb5479e76947d2eb1c41d_1695851470_6376.jpg
      [CA] KFAM 한인가정상담소 제 40회 연례 기금 모금 행사 성황리에 열려
      KCMUSA | 2023-09-27
        한인가정상담소(KFAM, 소장 캐서린 염)는 21일 저녁 마제스틱 LA 다운타운(The Majestic Downtown)에서 제 40회 연례 기금모금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미국으로 입양된 한국 출신의 인디 랩 아티스트이자 콘텐츠 크리에이터 크리에이…
    • [CA] 2023 제14차 국제총회 세계선교대회 성료
      KCMUSA | 2023-09-27
      예장 국제총회(총회장 박병섭 목사) 2013 제14차 총회 및 세계선교대회가 ‘중단할 수 없는 세계선교 마무리 비전을 이루자!’라는 주제로 지난 9월18일(월)부터 21일(목)까지 은혜한인교회(담임 한기홍 목사)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선교대회는 7년만에 은혜한인교…
    • NFL 전설 짐 켈리 세례 받아 '내 인생에서 내린 최고의 결정'
      KCMUSA | 2023-09-27
      전 버펄로 빌스(Buffalo Bills) 쿼터백 짐 켈리(왼쪽)가 2023년 9월 21일 인스타그램에 녹화되어 게시된 세례 도중 물에 빠질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 Instagram/JimKelly1212) NFL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린 버펄로 빌스(Buff…
    • 전국학생기도운동 "깃대에서 만나자(See You at the Pole)" 오늘 열린다
      KCMUSA | 2023-09-27
      전 세계적인 사역을 통해 학생들이 학교 깃대 주변에서 기도 시간을 지켜 “온 마음”으로 하나님을 볼 수 있도록 도전하는 "깃대에서 만나자(See You at the Pole)"가 오늘 열린다. "깃대에서 만나자(See You at the Pole)"은 9월 넷째 수요…
    • 미국 주류 교단 목사는 진보적, 교인은 보수적
      뉴스엠 | 2023-09-26
      미국의 공공종교연구소(The Public Religion Research Institute)가 최근 주류 성직자(복음주의를 제외한 전통교단, PCUSA, UMC 등등)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한때 미국 개신교계를 형성했던 역사적인 교단을 이끄는 성직자들이 …
    • 309a82e8f924a52601124bc4f0dc5726_1695753351_1974.jpg
      결혼과 부성애 붕괴가 기독교 쇠퇴로...아버지 없는 이들의 신앙: 무신론의 심리학
      KCMUSA | 2023-09-26
      왼쪽부터 2023년 9월 25일 워싱턴 D.C.의 헤리티지재단에서 드보스 생명, 종교, 가족센터 소장 제이 W. 리차드가 리차드 & 헬렌 드보스(Richard and Helen DeVos) 센터 연구원 델라노 스콰이어스(Delano Squires)와 헤리티지(…
    • NCKPC, 모로코와 리비아 재난 구호 나섰다
      기독뉴스 | 2023-09-26
      모로코 강진으로 무너진 가옥 [로이터=사진제공] NCKPC(총회장 권준 목사/시애틀형제교회)가 강진이 닥친 모로코와 홍수로 수만 명의 인명피해를 당한 리비아에 재난 구호금 모금을 호소했다.이와 관련, 총회장 권준 목사는 “ 마우이 화재 구난을 위한 헌금을 이야기 한 것…
    • [인터뷰] UMC 탈퇴 GMC 가입 만백성교회 이종범 목사
      기독뉴스 | 2023-09-26
      뉴욕기독교방송(CBSN) 사장 문석진 목사가 본 방송 프로그램중 하나인 ‘문석진 목사가 만난 사람’ 코너에서 최근 UMC를 탈퇴하고 GMC에 가입한 이종범 목사를 인터뷰했다. 인터뷰 전문을 간추려 실어 본다.<편집자 주>문석진 목사(이하 문): 안녕하세요. …
    • 1f1c1ba5417fb5479e76947d2eb1c41d_1695674394_2563.jpg
      [CA] 임동선 목사 생애 그린 오라토리오 공연된다
      KCMUSA | 2023-09-25
      임동선 목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임 목사의 생애를 그린 창작 오페라틱 오라토리오 ‘지구촌은 나의 목장(Jesus for All Nations)’이 오는 10월 21일(토) 오후 7시 동양선교교회에서 개막된다. 예술 총감독 및 지휘를 맡은 윤임상 월드미션대학교 교…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